04
URBAN OPENNESS
도시 개방성
도시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도시 개방성은 스마트시티 서비스 개발에 있어 다양한 인재들이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혁신의 동인이 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관점에서 '데이터 개방'과. '시민 참여'로 나누어 도시 개방성을 평가하였다. 첫 번째로 도시를 하나의 거대한 플랫폼으로 보고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 활용 될 수 있도록 하는 공공 데이터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두 번째로 스마트시티 서비스 구현과 운영에 있어 시민의 참여와 역할의 정도에 대해 살펴 보았다. 분석결과, 각 도시 개방성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 개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공공 데이터 통합, 재생산으로 시민 밀착형 서비스 확대”
21년도 분석된 31개 도시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도시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민의 생활편의 향상 및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데이터 기반의 공공행정 서비스로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시 내부의 행정 데이터를 연계·통합하는 정책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데이터로 전환되면서 민간과 함께 신규 비즈니스모델 창출을 통해 도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의 기본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31개의 도시 별 공공데이터 현황 및 활용에 대한 분석한 결과, 과거 공공 데이터의 개방은 정부의 투명성, 공익성을 위해 시작되었으나, 현재의 추세는 다양한 사회적 공공 가치의 향상을 위해 서비스 개발 및 활성화를 통한 경제적 성장을 목표로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실제로 각 도시들의 스마트시티 전략을 살펴보면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 구현 및 Urban Digital Transformation(UDx)을 추진하는데 데이터를 핵심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미 여러 도시들이 데이터 포털을 통해 자유롭게 도시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계가 읽을 수 있는(Machine Readable) 형태로 제공하여 그 활용도 또한 증가하고 있어 도시 내의 스타트업은 물론 다양한 산업에서서 이를 활용하고 있다.
31개 도시의 공공데이터의 현황을 각 도시별 개방 데이터셋의 수와 분야별로 파악하였으며, 총 52,337개의 데이터 세트가 조사 대상이 되었다. 앞서 서비스 혁신성의 분석 결과와 달리, 행정이 19%로 가장 높았고, 보건·의료·복지 16.5%, 교육 16% 순으로 개방률이 높았다. 이는 많은 도시들이 전자정부 추진과 동시에 도시데이터를 적극적으로 개방함에 있어 정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향상하고 공익을 목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행정데이터가 개방될 수 있도록 노력한 결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복지 유형에서는 진료비나, 의약품과 관련된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었으며, 20년도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COVID-19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공공•민간 데이터가 활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중앙정부에서는 App-web 서비스를 통해 마스크 판매현황, 백신정보, 감염자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서울, 부산, 인천 등 각 도시 세부 지역별로 구분하여 확진자 현황, 백신 접종 현황 등의 활용성 높은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었다. 교육에서는 학교명, 위치, 유형, 학급수, 교원수, 학생수 등의 정보 뿐만 아니라 장학금 수혜 현황, 동아리 활동 현황, 도서관 현황, 방과 후 교육 운영 현황이나 학생 진로와 관련되어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었다. 31개 도시의 공공 데이터 활용 측면에서는 평균 61.8%의 활용률이며, 이는 행정 분야가 가장 높은 데이터 개방 수를 갖고 있으나 공공데이터의 활용에서는 교통, 문화·관광·스포츠, 보건·의료·복지 순으로 가장 높았다. 향후 각 도시에서 다양한 분야의 품질 높은 데이터가 개방되면서 이에 필요한 품질관리 및 효과적인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실시간 센서 데이터 수집이 용이해 지면서 데이터의 개방수와 활용률은 높아 질것으로 전망된다.
SMART CITIES INDEX REPORT 2022
DTTM, ISi Lab, IfM Engage
E: info@mail.smartcitiesindex.org | T: +82-2-2123-4529 | Seoul, Korea
Copyright 2022. ISi Lab all rights reserved.